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ArticulationPoint
- BFS
- IndexedTree
- DP
- Union-Find
- SlidingWindow
- Bridge
- greedy
- Sweeping
- mergesorttree
- DFS
- Floyd
- topologicalsort
- BinarySearch
- LCA
- Implementation
- Flow
- Tree
- FenwickTree
- Dijkstra
- MST
- TwoPointers
- 2-sat
- LIS
- scc
- ShortestPath
- backtracking
- KMP
- Bellman-Ford
- Math
Archives
- Today
- Total
정리충의 정리노트
[백준] 2146: 다리 만들기 본문
0. 문제 주소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146
2146번: 다리 만들기
여러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가 있다. 이 나라의 대통령은 섬을 잇는 다리를 만들겠다는 공약으로 인기몰이를 해 당선될 수 있었다. 하지만 막상 대통령에 취임하자, 다리를 놓는다는 것이 아깝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. 그래서 그는, 생색내는 식으로 한 섬과 다른 섬을 잇는 다리 하나만을 만들기로 하였고, 그 또한 다리를 가장 짧게 하여 돈을 아끼려 하였다. 이 나라는 N×N크기의 이차원 평면상에 존재한다. 이 나라는 여러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, 섬이란 동서남북
www.acmicpc.net
1. 풀이
귀찮지만 실수 없이 코드 짜는 연습 하기 좋은 문제.
총 4개의 배열을 사용한다.
int grid[MAX][MAX];
int conti[MAX][MAX];
int dist[MAX][MAX];
bool visited[MAX][MAX];
1과 0으로 구분된 원래 지도를 나타내는 grid 배열,
DFS를 이용해 대륙별 번호를 매긴 conti 배열,
각 대륙에서부터 거리를 나타내는 dist 배열,
순회간 방문 여부를 나타내는 visited 배열.
크게 어려운 점은 없었지만 아쉬운 점은 0ms가 걸린 풀이가 있던 반면에 내 코드는 904ms가 걸렸다. 모든 대륙에서 각각 출발하는 BFS를 전부 돌린게 원인인 것 같다.
2. 풀이 코드
* 유의할 점
1. dist 배열의 활용 : conti 배열을 순회하면서 0을 만날 때마다 인접한 곳을 바로 감소시키면 안 됨
2. 배열의 초기화 시점
#include <bits/stdc++.h>
#define pii pair<int, int>
#define MAX 105
#define INF 987654321
using namespace std;
int N;
int grid[MAX][MAX];
int conti[MAX][MAX];
int dist[MAX][MAX];
bool visited[MAX][MAX];
int di[] = {0, 0, -1, 1};
int dj[] = {-1, 1, 0, 0};
int ans = INF;
void DFS(int i, int j, int num){
visited[i][j] = true;
conti[i][j] = num;
for (int d=0;d<4;d++){
int ni = i + di[d], nj = j + dj[d];
if (ni <= 0 || ni > N || nj <= 0 || ni > N || visited[ni][nj] || grid[ni][nj] == 0) continue;
DFS(ni, nj, num);
}
}
int main(){
#ifndef ONLINE_JUDGE
freopen("input.txt", "r", stdin);
#endif // ONLINE_JUDGE
scanf("%d", &N);
for (int i=1;i<=N;i++){
for (int j=1;j<=N;j++){
scanf("%d", &grid[i][j]);
}
}
int conti_num = 0;
for (int i=1;i<=N;i++){
for (int j=1;j<=N;j++){
if (!visited[i][j] && grid[i][j]){
conti_num++;
DFS(i, j, conti_num);
}
}
}
for (int n=1;n<=conti_num;n++){
int curr_min = INF;
memset(visited, 0, sizeof(visited));
for (int i=1;i<=N;i++){
for (int j=1;j<=N;j++){
dist[i][j] = INF;
}
}
queue<pii> q;
for (int i=1;i<=N;i++){
for (int j=1;j<=N;j++){
if (conti[i][j] == n){
q.push(pii(i, j));
visited[i][j] = true;
dist[i][j] = 0;
}
}
}
while(!q.empty()){
int i = q.front().first, j = q.front().second;
q.pop();
for (int d=0;d<4;d++){
int ni = i + di[d], nj = j + dj[d];
if (ni <= 0 || ni > N || nj <= 0 || nj > N || visited[ni][nj]) continue;
dist[ni][nj] = min(dist[ni][nj], dist[i][j] + 1);
q.push(pii(ni, nj));
visited[ni][nj] = true;
}
}
for (int i=1;i<=N;i++){
for (int j=1;j<=N;j++){
if (conti[i][j] > 0 && conti[i][j] != n){
curr_min = min(curr_min, dist[i][j]);
}
}
}
ans = min(ans, curr_min);
}
printf("%d\n", ans - 1);
}
'PS > BFS & DF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] 3055: 탈출 (0) | 2020.02.03 |
---|---|
[백준] 2668: 숫자고르기 (0) | 2020.01.19 |
[백준] 9205: 맥주 마시면서 걸어가기 (0) | 2020.01.19 |
[백준] 9466: 텀 프로젝트 (0) | 2020.01.18 |
[백준] 1707: 이분 그래프 (0) | 2020.01.17 |